삼성전자, 악재 이겨내고 사상 최대 분기 실적 올렸다…1Q 매출 77조원
[AP신문 = 김상준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매출 77조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실적을 올렸다.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더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인상 및 글로벌 공급망 위기,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GOS) 논란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역대급 실적을 기록,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005930)는 7일 연결기준으로 매출 77조원, 영업이익 14조1000억원의 2022년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7.76%, 영업이익 50.32% 증가한 수치다.
특히, 매출은 역대 최대로, 지난해 4분기 76조5700억원의 기록을 한 분기 만에 갈아치웠다. 영업이익 역시, 1분기 기준으로 반도체 슈퍼호황기였던 2018년 1분기 15조64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이 같은 실적은 증권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호실적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삼성전자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75조원과 13조원대로 전망했다.
잠정 실적인 만큼, 부문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스마트폰 신제품 판매 호조와 반도체 실적 선방이 실적 호조를 이끌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신제품 갤럭시S22 시리즈는 지난 2월 전 세계 70개국 사전 예약에서 전작 대비 2배 이상 많은 사전 판매량을 보이며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GOS 논란에도 국내에서는 판매 6주 만에 100만대 돌파를 앞두고 있다. 이는 전작인 갤럭시S21의 57일에 비해 2주 가량 빠르며, 2019년 출시된 갤럭시S10의 47일보다도 4일 빠르다.
반도체 부문 역시, 반도체 가격 하락이 우려보다 양호함에 따라 선방했다는 분석이다. 1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폭은 데이터센터 등의 수요가 받쳐주며, 각각 6.2%, 5.1% 수준에 머물렀다.
이에 더해 삼성전자의 서버ㆍ모바일ㆍ그래픽 등의 첨단공정 제품 및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높인 전략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TV 등 가전 부분도 전분기보다는 실적이 감소했지만, 1분기가 비수기인 점을 고려할 때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시장을 공략하며 선방한 것으로 관측됐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가 공개한 잠정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2009년 7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분기 실적 예상치를 제공하고 2010년 IFRS를 선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입각한 정보 제공을 통해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실적 예측과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 왔다.
삼성전자의 1분기 사업부문별 구체적인 확정 실적은 4월 말 공개될 예정으로, 삼성전자는 투자자들과의 소통 강화 및 이해 제고 차원에서 경영 현황 등에 대한 문의사항을 사전에 접수해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주주들의 관심도가 높은 사안에 대해 답변을 진행한다. 7일부터 문의사항 접수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