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 부활론…“정책 소통, PR로 완성해야”
[AP신문 = 김강진 기자] 정책 소통 강화를 위해 국정홍보처의 부활이나 대통령 직속 국민소통정부혁신위원회와 같은 조직 신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PR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한국PR협회(회장 조영석)는 지난 5월 26일부터 30일까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2025 특별세미나 정책 소통을 위한 제언 - 정책은 PR로 완성된다’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역대 정부에서 좋은 정책이 소통 부족으로 제대로 빛을 보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며, 정책 설계부터 실행까지 국민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환경 변화로 정보 편식과 알고리즘의 부작용이 심화되면서 국민통합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참석자들은 “국민을 정책 수용자가 아닌 공동설계자로 바라보는 관점 전환이 필요하다”며, 정책 입안과 실행 전 과정에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책뿐 아니라 위기·재난 대응에서도 소통 실패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공직자들에게 신뢰 설계 전략과 사회적 회복 경험을 포함한 선진 소통 전략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관·산·학 PR 전문가 100여 명이 참여해 공공-민간-국민-언론 파트너십, 정책 소통 톤과 매너, 신뢰받는 메시지 전략, 재난·위기·갈등과 정책 소통, ESG 및 디지털 AI 시대의 정책 소통 전략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첫날 서강대 신호창 명예교수는 “이명박 정부 이후 네 개 정부 모두 정책 실패와 정부 불신의 원인을 공유한다”며, “지속가능한 정책 PR 시스템 구축과 정부기관의 PR 역량 강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대통령과 장관의 공중관계(PR)적 사고가 부족하면 신뢰 회복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둘째날 콜로라도주립대 김장열 교수는 “선진국들은 정책 기획 단계부터 정부, 언론, 시민사회, 기술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동반자 구조를 지향한다”며, “내러티브 중심의 메시지 전략과 제도화된 소통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옴니콤그룹 최승호 파트너는 “우주항공청(KASA)이 성공적인 민관협력 사례”라고 소개했다.
셋째날 한국외대 이유나 교수는 “정부 SNS 등 소통 채널을 수용자 중심으로 재구성해야 하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KOBACO 김정훈 박사는 “정책PR의 전문성과 현장 중심 접근이 정책 성공의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넷째날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유재웅 대표는 “의대 정원 증원 등 정책 위기 사례를 통해 위기 커뮤니케이션 교육과 평가 기준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율촌 윤용희 변호사와 진용주 전 이화여대 교수는 ESG와 그린워싱, 재난 위기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마지막 날 서원대 김병희 교수는 “AI 기반 감정 분석, 맞춤형 메시지 생성 등 AI 활용이 정책 소통의 새 패러다임”이라고 설명했다. 우아한형제들 권용규 상무는 AI를 활용한 MZ세대 소통 전략을 공유했다.
조영석 한국PR협회장은 “정책은 PR로 시작해 PR로 완성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정책 소통을 주제로 다양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PR학회 후원으로 진행됐으며, 행사 내용은 협회 회원들에게 무료로 공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