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용인 팹에만 600조 투자…韓 경제 성장 과실 창출하겠다"
[AP신문 = 박수연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관세 타결 후속 조치로 재계에 '차질 없는 국내 투자'를 강조한 가운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AI,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등 그룹 주력사업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투자 및 고용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AI 3대 강국’ 비전을 비롯한 국내 산업 발전에 동참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화답한 것이다.
최태원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민관 합동회의에 참석해 "교역 환경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국내 기업들도 실질적인 경제 성장의 과실을 창출하기 위해서 노력을 계속하겠다"며, "SK그룹 역시, 국내 투자와 고용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한미 관세·안보 분야 협상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시트'의 후속 논의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이재명 대통령은 참석 기업인들에게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없도록 잘 조치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역설했다.
이에 최태원 회장은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지만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대충 추산컨대 용인 팹(Fab)만으로도 한 600조원 정도쯤의 투자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용인반도체클러스터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중심 고부가 메모리 수요 급증과 공정의 첨단화로 설비 투자가 당초 계획보다 대폭 증가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최종 계획(팹 4기)이 마무리되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대한 총 투자규모만 6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 회장은 고용과 관련해서도 "SK는 매년 8000명 이상 채용을 꾸준히 유지해왔고, 반도체 팹이 일부 오픈할 때마다 2000명 이상의 추가 고용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팹 완공 속도에 따라서는 팹 1기당 1만4000명에서 2만명까지 직간접 고용 효과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첨단산업 생태계 강화 전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소부장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8600억원 규모로 정부와 공동 구축 중에 있다"며,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에 있는 많은 중소기업들이 테스트를 통해 상당히 빠른 속도로 기술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리니티 팹은 SK하이닉스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구축 중인 '첨단 반도체 개발용 미니 팹'으로, SK하이닉스, 정부, 소부장 기업이 힘을 모아 국내 반도체 경쟁력 강화에 함께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양산 라인과 동일한 환경의 12인치 웨이퍼 기반 인프라가 갖춰지며, 소부장 기업들은 자체 개발 제품을 실증 테스트해 양산성을 검증할 수 있다.
특히, 트리니티 팹은 비영리 재단법인 형태로 운영될 계획으로, 소부장 협력사뿐 아니라, 연구기관, 학계, 스타트업 등 다양한 참여 주체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최 회장은 글로벌 AI 허브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기 위한 '제조 AI 부분' 강화 노력도 강조했다. 그는 "엔비디아와 '반도체 AI 팩토리' 협력을 하고 있고, 아마존웹서비스(AWS)나 지멘스 등과 협력을 통해 산업통상부가 계획하고 있는 AI 자율 제조 계획에 보탬이 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등은 AWS와 협력해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다. 2027년 상업가동 시 하이퍼스케일급(100MW) 규모로 운영돼 동북아 AI 허브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은 물론, 업계에서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만 수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픈AI와는 한반도 서남권 지역에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태원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AI 데이터센터, AI 인프라가 속도전에 돌입했다"며, "SK도 더 빠른 속도로 이에 대응하겠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