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광고트렌드 ②]셀럽이 출연한 재미있는 광고가 효과 높다

2018-11-16     김재일
[AP뉴스=김재일 기자]  메조미디어에서 지난 2018년 9월 부터 10월까지 15~59세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광고 이용 행태 파악〉을 했다. AP뉴스는 설문 조사결과를 토대로 [2018 광고트렌드 ①]에 이어 [2018 광고트렌드 ②]를 게재한다. (편집자 주)

1111.jpg▲ 메조미디어 자료
 

우리 국민들은 좋아하는 연예인이 출연하거나 재미 있는 광고영상을 끝까지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예인이나 모델이 출연한 광고는 거부감이 적으며 광고의 영상미 보다는 재미있는 내용의 광고를 더 선호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광고의 조회수를 보더라도 재미있는 내용의 광고나 감동적인 광고가 조회수가 그렇지 않은 광고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광고 모델에 관심이 생길 경우 광고를 반복 시청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유명인이 출연한 광고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당분간 셀럽들의 광고 모델료 몸값은 높아지리라고 판단 된다.
222222.jpg▲ 메조미디어 자료
 

〈중간 광고는 짜증 유발한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상파들의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도입하려는 중간광고에 대한 반응은 어떨까? 예상과는 달리 응답자의 59%가 프리롤 광고를 선호하며 중간광고 선호도는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중간 광고를 선호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영상의 흐름을 끊는다', '짜증을 유발한다' 등의 이유를 댔다.

유튜브 등의 채널에서 동영상 광고를 시청할 때도 5초 이상 광고가 재생될 시 피로감과 거부감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gytrfgfrgfrt.jpg
 

〈나이가 많을수록 소리켜고 영상 시청〉

의외의 조사결과도 나왔다. 저연령대는 소리 없이 영상만 시청하고, 나이가 많은 연령대는 소리를 켜고 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중교통 이용 시 주로 10~30 초반의 사람들이 이어폰을 귀에 꽂고 모바일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봤을 때 저연령대가 소리를 켜고 영상을 시청할 줄 알았는데 조사 결과에서는 전혀 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봤을 때 저연령대와 고연령대를 위한 광고 제작 시 영상보다 음향이나 음악의 취사 선택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 최근에 인기 직종으로 떠오른 유튜브 크리에이터나 아프리카TV의 BJ들이 방송 도중 직접 PPL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적은 편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2018 광고트렌드 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