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신문=김강진 기자] 네이버ㆍ카카오 뉴스 제휴를 심사하는 포털 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는 지난 1월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0년 상반기 신규 뉴스 제휴사를 발표했다.

원래 이맘 때면 2020년 하반기 제휴사를 발표했어야 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일정이 순연되어 작년 상반기 접수 매체가 6개월 가량 늦어진 올해 1월에 발표된 것이다.

뉴스 제휴 중에서 가장 어려운 관문인 CP(콘텐츠 제휴)매체는 [비즈니스워치]가 유일하게 선정되었다. 지난해에 이어 콘텐츠제휴 매체는 1개사 뿐이라 바늘구멍보다도 더 어려운 관문이라는 것을 실감하게 됐다.

뉴스 스탠드는 [게임동아], [미디어스], [베이비뉴스], [식품저널] 총 4개 매체가 선정됐다. 신규 뉴스스탠드 통과 매체는 지난 8차 때보다 2개 매체가 줄었다.

뉴스 검색 제휴 매체는 총 15개가 선정됐다. 지난해에 26개 매체가 선정된 것에 비하면 대폭 줄어든 숫자다. 역대 통과율이 가장 저조한 지난 8차 때 보다도 통과율이 더 낮아졌다.

지난해 '제평위에서 신규 뉴스 검색 심사 기준을 대폭 완화해 진입을 쉽게 하는 대신 제휴 규정을 엄격하게 관리해 퇴출도 많이 시킨다'는 루머가 항간에 퍼졌다. 이를 뒷받침 하듯 지난해 역대 최대인 약 45개의 매체가 퇴출됐다.

하지만 이번 신규 제휴 매체사 발표를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게 드러났다. 진입은 갈수록 더 어렵게 하고 퇴출은 쉽게 하는게 맞는 것일지도 모른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제 9차 신규 뉴스 검색 제휴

■ 제9차 신규 뉴스 검색 제휴사 (리스트 출처 :더피알)

네이버+카카오 (신규 검색) 총 6개 매체

네이버와 카카오 양대 포털 신규 검색제휴로 통과된 매체는 총 6개 매체다.

① 교육잇다 - 교육전문지. 2018년에 창간했으나 2010년부터 발행해온 웹진 '국민행복교육포럼’ 이 전신.
② 뉴스펭귄 - 멸종 기후 위기 관련 전문지. 2017년 창간.
③ 로톡뉴스 - 법률 전문지. '법'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하자는 게 모토. 2018년 창간
④ 월간공간(SPACE) - 건축 포털 매거진. 1966년 창간
⑤ 코인데스크코리아 - 암호화폐 블록체인 미디어. 한겨레신문 자회사 '22세기 미디어'와 '코인데스크'가 함께 만든 매체
⑥ 파이트타임즈 - 무에타이 격투 전문지. 2017년 창간

네이버 신규 7개 매체

포털 네이버에만 신규로 검색 제휴된 매체는 총 7개 매체다. 월간 데코저널을 제외한 6개 매체가 카카오검색제휴사다.

① 경향게임스 - 대한민국 최초의 게임 전문지. 창간 당시 경향신문의 자매지였다가 독립함. 2001년 창간. 카카오 검색제휴사임.
② 우먼타임스 - 여성 전문지. 원래는 제호가 '러브즈뷰티'였으나 2019년 현 제호로 변경. 데일리비즈온, 뉴스웨이브와 자매지. 2011년 창간. 카카오 검색제휴사임.
③ 월간 데코저널 - 디자인ㆍ건축 관련 매거진. 1995년 창간.
④ 의약뉴스 - 의약 관련 전문지. 2002년 창간. 카카오 검색제휴사임.
⑤ 전국매일신문 - 종합지. 1996년 창간한 '한성일보'가 모태로서 1999년 전국매일로 제호 변경. 자매지 월간 전국지방시대도 있음. 카카오 검색제휴사임.
⑥ 정보통신신문 - ICT 전자 주간신문. 2000년 창간. 카카오 검색제휴사임.
⑦ JTV전주방송 - 전라북도 전주지역 민영 방송국

카카오 신규 2개 매체

포털 카카오에 신규로 검색된 매체는 2개사다. 2사 모두 네이버 검색제휴사다.

① 가톨릭신문- 가톨릭교회 주간 신문. 1927년 '천주교회보'가 모태.이후 '가톨릭신보'로 변경했다가 1980년 지금의 제호로 변경함. 네이버 검색제휴사임.
② 대구일보 - 대구지역 종합일간지. 1945년 창간. 네이버 검색제휴사임.

이렇듯 최근 신규 검색 제휴 매체로 선정된 언론사들은 기존 매체와 차별화되고 각 분야에서 전문성이 부각된 매체들이 대부분이다. 발행된지 평균 10~20여년이 훌쩍 넘을 정도로 내공도 상당히 깊은 매체들이다.

이번에 발표된 신규 뉴스 제휴 매체 중에서는 경제지가 단 한 곳도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난 8차에서 신규로 검색 제휴된 매체들도 대부분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은 매체였다.

제평위는 4차 때부터 통과 기준을 기존의 70점에서 60점으로 낮추고 통과 비율을 완화했다. 문턱을 낮추자 지난 4차 심사 때는 약 19%의 합격율을 기록했다. 가장 낮았던 2차와 비교하여 3배나 높은 합격율이었다.

지난 7차 때는 77개 매체가 통과돼 약 14%의 통과율을 기록했으나 추후 재심사에서 타매체 기사를 베꼈다는 이유로, 통과된 15개의 매체에 대해 합격 취소를 했다. 결과적으로 약 11% 통과율을 기록한 셈이다.

한편, 제평위는 올해 4월과 10월경 두 차례 신규 뉴스 제휴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아래 표는 2021년 1월 25일 기준 네이버 검색 제휴사(이번에 통과된 신규 뉴스 검색 제휴사 포함)를 가나다 순으로 정리한 표이며 매체수는 총 927개사다.

2021년 1월 25일 기준 네이버 검색 제휴사 현황
저작권자 © AP신문 | 온라인뉴스미디어 에이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