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신문 = 박우진 기자] 신한금융지주 조용병 회장의 무책임 경영에 대한 비판여론이 여전히 거세다. 그룹 안팎에서 경영실책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목소리가 높지만 조 회장은 가능한 책임을 지지 않으면서 회장 자리를 유지하는데 급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여연대, 금융정의연대 등 시민단체는 신한금융지주 정기주주총회가 열린 24일 기자회견을 열고 조 회장이 대형 금융비리사고에서 책임을 지지 않고 안일한 경영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민단체는 이날 주총에서 경영진의 내부통제 부실로 사모펀드와 채용비리 사태를 일으킨 조 회장과 경영진에 대해 책임추궁을  하지 않은 것은 신한금융그룹에서 대형사고에도 철저한 책임 추궁이 따르지 않는 경영풍토가 지속되고 있는 것 같다고 있다고 지적했다.

뿐더러 신한금융 이사회가 조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에 대한 견제기능을 상실한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을 재선임하는 비상식적인 행보를 보인 것은 신한금융에서 책임경영 부재를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실 조 회장을 비롯한 신한금융 경영진의 자리지키는데 급급하는 안일한 경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에도 라임펀드 등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을 제대로 묻지 않았다. 시민사회는 대규모의 금융소비자 피해를 양산한 책임자인 조 회장을 해임하라고 요구했지만 신한금융은 외부의 따가운 질책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배당금 잔치만 벌였다.

경영진은 물론 사외이사들도 책임회피에 급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모펀드 불완전판매로 수 많은 투자자를 울려 신한금융의 신뢰도를 급추락시키고도  이들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데만 몰두했다. 

제21기 정기주총을 주재하고 있는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사진=신한금융지주)
제21기 정기주총을 주재하고 있는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사진=신한금융지주)

결국 신한금융은 내부통제 부실로 발생한 일련의 사태들에 대하여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해결 의지가 없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조 회장을 비롯한 신한금융 경영진들은 사모펀드 사태에서 금융소비자 보호가 최우선이라는 의식은 찾아볼 수 없고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살아남는 것이 상책인 듯한 극도의 이기적인 행태를 보이는 무책임성을 드러낸 것이다.

라임사태에서 신한금융은 고객들을 상대로 사기판매를 하고도 책임지고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부족해 금융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기고 했다. 판매사인 신한금융투자와 신한은행은 라임자산운용과 공모하여 라임펀드의 부실함을 인지하고도 사기판매를 서슴지 않았다.

신한은행의 불완전판매는 사기에 가까웠다. 신한은행은 처음부터 고객들에게 판매한 펀드가 타 펀드에 유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았으면서도 이를 고객들에게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고 실적 올리기에 급급해 고객들을 기망하면서 투자를 유도했다. 금감원은 신한금융투자에게 ‘계약취소 및 원금 전액 배상’ 결정을 내리며, 사기적 행위를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수많은 투자자자들이 노후자금 등을 몽땅 날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신한금융이 내부에서 조직적으로 고객들을 기망했는데도 책임을 벗으려고 발뺌을 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책임자는 당연히 조 회장과 경영진이다.  사모펀드 사태의 근본적인 감독·통제 책임은 신한금융투자와 신한은행 등 계열사의 최고경영자인 신한금융 조 회장과 경영진이 져야하는데 이들은 여금감원의 솜방망이 제재와 책임의식 부재로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조회장은 라임사태로 금감원으로부터 ‘주의적 경고’ 사전통보를, 신한금융은 중징계인 ‘기관경고’를 받는데 그쳤다. 진옥동 은행장은 ‘주의적경고’(금감원은 ‘문책성 경고’에서 피해구제를 노력을 감안하여 최종 ‘주의적 경고’로 감경)를 받은 바 있다.

또한 금감원은 김병철 신한금융투자 전 대표, 김형진 전 신한금융투자 대표에게 ‘직무정지’를, 신한금융투자에 ‘업무 일부정지’ 조치를 하는 등 중징계를 결정한 바 있다.

특히 조 회장은 채용비리 연루에도 회장자리를 지키는데 성공했다. 그는 조카 손자와 금감원 부원장 자녀의 지원 사실을 인사부장에게 알리는 등 채용비리 사태에 직접 연루되어 재판까지 진행 중이다. 최근 2심 판결에서 ‘학벌이나 스펙이 좋으면 무죄’라는 법원의 궤변으로 무죄 선고를 받았다.

그렇지만 채용비리는 위계에 의하여 발생하는 특성상 권력형 범죄일 수밖에 없고 조 회장의 행태가 ‘공정한 채용절차’를 방해하는 비정상적인 채용서류 전달 경로인 것을 고려하면 조 회장은 채용비리로부터 절대 자유로울 수 없다고 시민단체는 지적한다.

더군다나 ‘현대판 음서제’, ‘성차별 은행’이라는 수식어까지 뒤따라올 정도로 조 회장의 재임기간 중 신한은행에서 성차별과 채용청탁이 만연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조 회장은 CEO로서 최소한의 책임이라도 져야할 입장이나 온갖 수단을 동원해 회장자리를 더욱 공고하게 굳히는데 전력하는 모습이다.

현 신한금융 경영구조에서 사외이사와 감사위원들이 경영을 견제하기는 커녕 거수기로 전락한 것은 심각한 문제다. 이들은 조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에 대해 내부통제 부실의 책임을 묻고, 지배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는데도  견제기능을 사실상 상실했다는 지적이다.

그런데도 이날 정기주총에서는 기존의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을 재선임했다. 이는 신한금융지주회사 지배구조의 불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것과 다름없다. 대형 금융비리가 빈발할 수 있는 소지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과 다름없다.

이미 세계의결권자문사인 ISS는 조용병 회장 등 경영진을 제대로 견제하지 못한 사외이사들과 감사위원의 재선임에 대한 반대의견을 표명한 바 있고, 국민연금도 지난 17일 ‘조용병 회장의 사법리스크와 라임사태를 견제하지 못했다’라는 이유로 사외이사 재선임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시민단체는 따라서 신한금융은 지금이라도 경영진에게 책임을 묻고 무책임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재선임을 중단하여, 사모펀드 및 채용비리 피해자들에게 사태 재발 방지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여 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금융정의연대, 참여연대, 전국 사모펀드 사기피해 공동대책위원회, 신한 사모펀드 피해자연대는 이날 신한금융지주 본사 앞에서 ‘사모펀드·채용비리 사태 책임자 조용병 회장 책임 촉구 및 견제기능 상실한 사외이사 재선임 반대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사태 해결 의지 없는 신한금융 이사회를 강력하게 규탄했다.

신한금융 측은 사모펀드 사태 등에서 보인 조 회장의 경영실책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을 봉쇄하려는 듯 이날 주총에서 금융정의연대 김득의 상임대표가 주주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본회의장에 들어가려는 것을 만석이라는 이유로 막았다. 이에 김 상임대표는 대면 질의를 요구하고 만석을 확인하려 했으나 신한금융 측은 이조차도 거부해 김 대표는 주총에 참석하지 못했다.

김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사포먼드 사태에 대한 신한금투 등 피해자 구제방안에 대한 의견 제시와 신한금융 주가 관리’에 대한 추가문제를 제기하려 했다.

저작권자 © AP신문 | 온라인뉴스미디어 에이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