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나 평균적인 수치일 뿐이고 전반적인 경기 둔화세를 반영한 결과로 사실상 온라인-모바일을 제외한 전 매체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매체별 KAI지수를 살펴보면 온라인-모바일 124.8, 케이블TV 99.6, 지상파TV 95.2 , 라디오 94.7, 신문 91.4 으로 조사됐다. 내년부터 지상파TV 중간광고가 허용이 되지만 올해보다 지상파TV의 광고경기가 올해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가 많았다.
업종별로는'가정용품(125.0)','미용용품(125.0)'및 '운송장비(120.0)'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정용품 업종은 라디오를 제외한 매체에서 광고비 증가 전망을 보이고 있다.
'운송장비'의 경우 내년도 기업들의 신차 출시 및 전방위 세제지원으로 소비심리를 자극한 내수시장에서의 진검승부로 광고비 오름세가 예상된다.
'통신'(75.0)의 경우 5G 상용화로 통신사의 광고비 증액을 예상했으나, 기업들은 관망세가 높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기업규모별 전망지수를 살펴보면 , 중형광고주(120.4)의 상승세와 온라인-모바일을 중심으로 광고비를 증액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75.0)의 경우 5G 상용화로 통신사의 광고비 증액을 예상했으나, 기업들의 관망세가 예상되는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