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신문= 김지민 기자]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정부광고비가 가장 많이 오른 매체는 한겨레신문이다.
한겨레신문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첫 해인 2013년에 비해 문대통령 취임후 1년뒤인 2018년과 비교시 약 21억 원이 올랐다. 한겨레 다음으로는 한국일보 (약 20억) 경향신문 (약 20억), 세계일보 (약 16억) 서울신문(약 15억), 국민일보 (약 12억) 순이다.
미디어오늘이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6년 동안 정부 광고 집행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정부 광고 집행액이 오른 순서로만 보면 한겨레신문이 가장 많이 올랐지만 정부 광고 집행비의 총액으로 보면 동아일보가 가장 많은 광고 수주를 했다.
문정부 출범 이후인 2017~2018년까지 지난 2년 동안 동아일보는 약 200억 원, 중앙일보 약 182억, 조선일보 약 180억으로 나왔다. 2013년에 비해 정부광고 집행액이 가장 많이 오른 한겨레는 지난 2년간 받은 정부광고 수주액이 약 116억 원에 그쳤다. 가장 많이 집행된 동아일보의 절반 수준인 셈이다.
광고 집행 금액으로만 보면 동아일보가 가장 많은 정부 광고비를 수주했지만 광고 집행시 참고되는 ABC공사 기준 각 매체의 발행 부수와 광고 효과 측정치 등의 데이타를 감안하면 동아일보가 많고 한겨레가 적다고 볼 수만은 없다.
ABC공사에서 발표한 2018년 기준 중앙일간지 발행 부수는 동아일보가 약 96만부고, 한겨레가 약 23만부다. 발행부수는 조선일보가 가장 많은 146만부지만 정부광고 수주액은 동아일보나 중앙일보보다도 적다. 물론 발행부수만 참고한 건 아니고 다양한 광고효과 측정 방법이나 광고 수용자의 적합성 등을 따져서 집행했을 것이라고 믿고 싶다. 관련기사 : 정부광고 불공정 시비 이제는 끝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