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대선광고평론 호외 2] ※ 평가 기간: 2022년 2월 17일~2022년 2월 24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AP신문=정세영 기자] 국민의힘이 지난 15일 공개한 광고입니다.

광고는 황량해진 시장가의 모습과 함께 '공정과 상식이 무너졌습니다'라는 카피를 보여주며 시작합니다.

이어 영상은 고통스러워하는 여러 국민들의 얼굴을 조명합니다.

그들은 TV와 스마트폰으로 '사회의 상식과 정의가 무너지는 것을 지켜볼 수 없다'는 윤 후보의 인터뷰를 시청하며 고개를 끄덕입니다.

차분한 남성의 목소리로 진행되는 내레이션이 영상을 이끌어갑니다.

'무너진 공정과 상식을 바로 세우라고'라는 내레이션과 함께 LH 투기ㆍ집값 폭등 등 현 정부의 부정적 이슈들을 보여줘 '상식이 무너졌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어 집값을 보며 한숨짓는 사람, 힘들어하는 코로나19 의료진들의 모습이 등장합니다.

광고의 좌측 하단에는 '국민이 키운 윤석열'ㆍ'내일을 바꾸는 대통령'이라는 카피가 지속돼, 해당 후보의 슬로건을 각인시킵니다.

TV로 윤 후보의 인터뷰를 시청하던 한 남성이 "이번엔 꼭 바꿔야지"라고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윤 후보의 모습과 함께 슬로건을 다시 한번 보여주며 광고는 마무리됩니다.

현 정부의 네거티브 이슈와 힘든 현 상황을 강조하고, 해당 후보가 이 상황을 타개할 수 있다는 흐름으로 전개된 광고입니다.

ⓒAP신문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윤석열 광고 평점
ⓒAP신문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윤석열 광고 평점

 

일관된 메시지로 존재감 드러내

평론가들은 광고가 러닝타임 내내 '공정과 상식이 무너졌다'는 카피와 함께 일관된 메시지를 전하며 후보의 차별점을 제시했다고 평했습니다.

윤석열의 인터뷰를 시청하는 국민의 모습.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윤석열의 인터뷰를 시청하는 국민의 모습.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메시지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전달된다. 후보가 직접 자신의 목소리로 언급하는 메시지들도 신뢰와 설득력을 높이는 데 일조한다. 현 정권의 다양한 부정이슈를 직ㆍ간접적으로 언급해 차별화를 시도한 부분도 선명한 대비를 이룬다.

- 노광욱 평론가

 

전형적인 대선 광고의 느낌으로 현 정권의 잘못된 정책들을 다양한 사람들을 통해 짚고 있다. 화면 사이사이 후보의 의지의 멘트가 들리며 존재감과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공정과 상식, 내일을 바꾸는 등 메시지가 정확하며 유권자들에게 희망의 느낌을 잘 전달했다. 

다만 후보자가 출연하는 마지막 두 컷이 앞선 화면들과는 다소 언밸런스한 느낌을 준다.

- 최상원 평론가

자신의 정치적 메시지 찾아보기 어려워

반면 메인 메시지의 근거로 제시된 장면들 간의 연결성이 약하고, 후보가 전면에 나서는 장면이 없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의견 또한 있었습니다.

힘들어하는 의료진의 모습.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힘들어하는 의료진의 모습.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고통스러워 하는 국민의 모습이 시즐처럼 소비됐다. 현 정권의 부정 이슈를 제시하고 국민의 고통을 보여주며 네거티브 전략을 선택했다. 공감가는 상황으로 페인 포인트를 자극했지만 어떻게 개선할지에 대한 후보자의 메시지는 없어 아쉽다. 특히, '국민이 키운, 키워낸'이라는 슬로건의 수동적 표현에서 후보자의 정치적 소신과 소명의식이 느껴지지 않는다.

- 김종은 평론가

 

전형적인 연역적 구성으로 전달하고 싶은 하나의 메시지를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나갔다. '공정과 상식이 무너졌다.' 라는 메시지에 현 정권에 대한 야당의 대립점을 확실히 만들었다. 

다만, 그 연역적 구성 중간중간에 서 있는 근거적 연출이 사뭇 어색하다. 공정과 상식이 무너진 사례에 채용 비리ㆍLH 투기의혹 외에 코로나 시대의 소상공인의 모습, 의료진의 모습이 추가 연출된 것은 사실상 메시지의 힘을 약화시킨다. 메인 화자인 윤석열 후보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고, 국민의 시야에서 후보자의 기자 인터뷰나 뉴스 화면 등의 연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또한 창문을 여러겹 세워둔 것처럼 설득력이 떨어진다.

- 이정구 평론가

혐오정치의 광고

또한 해당 후보의 전략이 네거티브와 혐오 감정에 기대고 있으며, 정책에 대한 구체적 방향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다수 있었습니다.

채용 면접장의 모습.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채용 면접장의 모습. 사진 유튜브 윤석열 채널 캡처

 

현재 국민의힘의 전략은 '안티-민주당', '안티-문재인정부'이다. 다시 말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정책과 어젠다가 없다. '공정과 상식이 무너졌다'는 카피와 함께 나오는 '힘들어하는 국민'은 모두 남자다. 자영업자로 추정되는 사람도 남자고, 면접장에서 떨어진 사람도 남자다. 면접 장면을 보자. 남자 둘, 여자 하나가 앉아있고, 여자가 웃고 있다. 이는 남자가 '공정과 상식이 무너진 사회'에서 '성별 할당제'때문에 부당하게 떨어졌음을 내포하고 있다. 현실은 어떠한가? 최근 은행권에서는 여성 지원자의 성적을 조작하여 일부러 떨어뜨린 사실이 계속 드러나고 있고, 혹자는 실형을 받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너 빨갱이지?'라는 공포정치 시대를 지나 '너 페미지?'의 혐오정치 시대를 꾸려나가고자 한다. '남성', '정상가족', '화이트칼라 노동자'만 포함하는 이 대선후보의 광고가 내포하는 정치의 방향은 너무나 뚜렷한 동시에 알맹이가 없고, 그렇기에 쉽고 자극적이지만 'So what?'이 없다.

- 홍산 평론가

노광욱 평론가 또한 "크리에이티브가 전형적이고 오로지 대비효과만 기대하는 듯한 전개는 광고 효과에 의문을 갖게 만든다"며, "다소 노골적인 구성은 지지자들에게 공감과 확신을 주겠지만, 중도층이나 반대편에는 반감을 형성해 거부감을 갖게 할 우려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 © AP신문 | 온라인뉴스미디어 에이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