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신문 = 이진성 기자] 공유 전동킥보드 확산과 함께 관련 교통사고도 지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동킥보드는 운행 여건 상 보행자 및 자전거와의 상충이 빈번하나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인해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의 법정 최고 속도를 25km/h에서 20km/h로 하향해야 하며, 특히 사고 위험이 높은 야간 시간대,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어린이∙장애인∙노인 보호구역 등에서는 15km/h 이하로 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삼성화재에 따르면,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소장 이상동) 조사 결과 지난해 공유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2019년 대비 2.5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최근 3년간 삼성화재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총 4502건으로,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약 30%)을 적용할 경우 국내에서 약 1만5000여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앞서 지난 25일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삼성화재에 접수된 사고 중 전동킥보드 교통사고 통계, 공유서비스 업체별 최고 속도 현황, 전동킥보드 정지거리 실험 결과 등을 분석해 '전동킥보드 사고 실태 및 최고 속도 하향 필요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내 공유 전동킥보드는 2018년 9월 올룰로가 '킥고잉' 공유 서비스를 최초로 개시한 이후 매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3월 기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전동킥보드협의회(SPMA) 13개 회원사의 전동킥보드 운영 대수는 9만1028대로, 2019년 12월 1만7130대 대비 5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서울시청 조사에 따르면, 2018년 150대에 불과했던 서울시 공유 전동킥보드는 지난해 6월 기준 14개 업체에서 총 5만5499대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업체별 최고 속도 관리는 제각각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동킥보드의 보도 통행이 빈번한 점을 고려할 때,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동킥보드는 자전거도로 통행이 가능하나,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국내 자전거도로의 76%가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이 실시한 전동킥보드 주행 안전실태 조사 결과, 전동킥보드 전체 이용자의 69%는 이용이 금지되어 있는 보도에서 주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국내 여건 상 전동킥보드는 자전거 도로 주행 시 보행자 및 자전거와 같이 통행해야 하므로 속도 차이가 클수록 사고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홍익대가 발표한 '퍼스널 모빌리티 사고 유형별 상해 위험성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25km/h로 운행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전동외륜보드)가 보행자를 충격할 경우, 보행자의 '중상' 가능성이 95%이나, 속도를 20km/h로 줄이면 '충격량'(운동에너지)이 36% 감소하고, 15km/h로 줄이면 6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시장 점유율이 높은 공유 전동킥보드 6개 업체를 조사한 결과, 15km/h에서 25km/h까지 업체마다 최고 속도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의 최고 속도 하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최고 속도를 현행 25km/h에서 20km/h로 하향 조정함으로써, 이용자, 보행자 및 자전거의 안전도 제고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공유서비스 업계의 일원화된 최고 속도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하고, 사고 위험성이 높은 ▲야간 시간(18~06시)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어린이∙장애인∙노인 보호구역 진입 시, 자동으로 최고 속도를 15km/h 이내로 설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제호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매년 급증하고 있고, 혼잡한 도로 여건과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 등으로 인해 관련 교통사고 또한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자전거도로는 보행자 겸용 도로가 많아 보행자와의 상충이 불가피 하고, 이면도로에서는 주ㆍ정차 차량이 많아 시야가림으로 인한 사고 위험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고 지적하며,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최고 속도 하향은 반드시 필요하고, 공유서비스 업체는 협의를 통해 우선적으로 업계 일원화된 최고 속도 하향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삼성화재 다이렉트 '착', 비대면 대출ㆍ보험금 청구 서비스 출시
- "20년 무사고 운전자도 느끼는 위협은"…삼성화재, 車보험 고객 설문 공개
- 삼성화재, 신규 광고 '건강을 챙길 타이밍' 공개…일반인 모델로 공감 이끌어
- 삼성, 2022년 상반기 공채 실시…18개 관계사 21일까지 접수
- 삼성화재 "다이렉트 펫보험 가입하고 댕냥이 선물 받아가세요"
- 삼성화재, RC 통한 건강 생활습관 점검 캠페인 실시
- 삼성화재, 손보업계 최초 'MZ 고객패널' 제도 도입
- 삼성화재, 간편보험 '355.1 유병장수 100세' 출시
- 삼성화재, 자동차보험 절약 '꿀팁' 제공…"할인 특약 놓치지 말자"
- 삼성화재, 다이렉트 운전자보험 보장한도 최대 2억원으로 확대
